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맘카페바이럴

패스권 2025.02.25 05:37 조회 수 : 0

맘카페바이럴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CEO,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의 3자 회동을 놓고 ‘한·미·일 인공지능(AI) 동맹 구축’의 신호탄이 오른 것으로 관련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 3국 간의 AI 동맹이 현실화할 경우의 한국 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오픈AI의 생성형 AI 챗GPT에 물은 결과, 한국의 글로벌 반도체 점유율이 8%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030년 국내 반도체 수출 규모도 4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5일 챗GPT가 트렌드포스·카운터포인트리서치 등 시장조사업체의 최신 보고서를 토대로 한·미·일 AI 동맹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2027년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은 20%로 2024년 대비 8%포인트 오를 것으로 추산됐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은 3%로 점유율이 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AI 반도체 수출액 규모도 지난해 110억 달러(약 16조 원)에서 2030년 400억 달러(약 58조 원)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생성형 AI 딥시크도 유사한 분석 결과를 내놨다. 한·미·일 AI 동맹으로 인한 수요 증가를 예상하며 한국이 메모리 부문에서 내년 5%포인트, 시스템 반도체 등 비메모리 부문의 경우 2030년까지 최대 10%포인트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로그디자인전문가들도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할순 없지만 3국 협력이 가속하면 한국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패권을 강화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AI 반도체, 특히 메모리 부문에선 현재 한국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한·미·일 AI 동맹이 강화될 경우 시장 파이 자체가 확장되는 만큼 생산시설을 다수 확보한 한국의 점유율도 덩달아 커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안 전무는 “다만 현재의 기술력을 계속 주도할 수 있어야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