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알뜰 인터넷 정부 조사 결과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경제에 대한 이해 수준이 50점을 겨우 넘기는 수준에 그쳐 초등학생들보다 10점 가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19일 발표한 '2024년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이해력 평균 점수는 초등학생(6학년)은 61.5점, 중학생(3학년)은 51.9점, 고등학생(2학년)은 51.7점이었다. 해당 조사는 2020년부터 2년마다 실시해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10월 초·중·고학생 각 5천여명씩 총 1만 5천여 명과 초·중·고 교사 각 250명씩 총 750명을 대상으로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수행·실시했다. 2022년 조사와 비교하면 초·중·고 학생 모두 점수가 하락했지만(초 -3.9, 중 -6.3, 고 -5.0) 2020년 결과와 비교하면 소폭 상승(초+3.4, 중+2.1, 고±0))했다. 다만 기재부는 2022년 조사는 종이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지난해에는 태블릿을 통한 조사 비율(78%)이 높아 비교적 응답 성실도가 떨어진 변수도 작동했을 것으로 봤다. 지역별로는 서울, 대구, 세종 등 특별시·광역시의 평균점수가 광역도보다 대체로 높았다. 초등학생의 경우 대구(68.6), 세종(66.9), 서울(64.9), 대전(64.6), 부산(64.0)에서, 중학생은 세종(60.7), 경북(56.6), 대구(55.4), 서울(55.2), 경남(54.6)에서, 고등학생은 부산(57.1), 울산(55.9), 세종(55.7), 대구(54.7), 경기(53.9)에서 비교적 이해력 점수가 높았다. 반면 초등학생은 충북(57.5), 제주(56.4), 광주(55.6), 충남(55.0), 강원(54.0)이, 중학생은 경기(49.6), 충북(48.2), 전남(48.2), 강원(45.6), 전북(44.4)이, 고등학생은 인천(48.5), 경북(47.7), 전북(46.3), 충남(45.7), 충북(42.0)이 점수가 낮았다. 고등학생의 경우 특목고 56.9점, 일반고 52.7점, 특성화고 42.2점으로 고등학교 유형 간의 격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중학생은 여학생 점수가 남학생 대비 높았지만, 초등학생·고등학생에서는 성별 간 유의미한 점수 차이는 없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