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대구휴대폰성지

지성인 2025.02.25 07:35 조회 수 : 0

대구휴대폰성지프리딕티브AI는 무슨 일을 하나. “자동차 원료로 원유를 직접 사용할 수 없듯이 의료 데이터도 가공되지 않은 원본 상태로는 그 가치를 온전히 발휘할 수 없다.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임상정보학(Clinical informatics)을 통한 정제 과정이 데이터의 실질적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이다. 원유 정제 과정에서 LPG·휘발유·나프타·등유·경유·중유 등이 각각 생산되는 것처럼 의료 데이터 역시 이와 같은 정제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의 가치 있는 정보로 변환된다. 프리딕티브AI는 의료 데이터 정제 회사로 규정할 수 있다.” 실제로 프리딕티브AI는 한국의학연구소(KMI), 가톨릭성모병원 등 국내외 다양한 의료기관과 제약회사와 의료 데이터 활용 관련 제휴를 맺고 있는 상태다. 윤 CEO에 따르면 프리딕티브AI의 AI 기반 데이터 분석은 크게 과거 지향적 분석과 미래 지향적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과거 지향적 분석은 무엇이 일어났는지 확인하는 ‘기술(記述·descriptive) AI’와 왜 이러한 일이 발생했는지 설명함으로써 데이터 내 인과 관계를 밝히는 ‘진단(diagnostic) AI’가 있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것이 ‘예측(predictive) AI’의 역할이고 여기에서 사명을 따왔다. 예측 AI와 함께 미래 지향적 분석에 속하는 ‘처방(prescriptive) AI’는 여러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해 특정 환자나 상황에서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단계다. 구로구중장년일드림센터측 AI 과정에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은 무엇인가. “과거 지향적 분석과 미래 지향적 분석을 초개인화해 디지털 플랫폼에서 구현한 환경이 디지털 트윈이다.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시나리오를 가상으로 구현,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결과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디지털 트윈을 활용할 경우 사전에 고위험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의료·의약 치료 이전에 본인의 디지털 트윈에 시뮬레이션해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 또 의학적 근거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임상 정밀의학 구현이 가능하다.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15개의 독립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최초로 융합 DB를 구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 최초의 유전체 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