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우리나라 분유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이 지역으로의 분유 수출이 10년 새 세 배로 늘었다. 학원1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으로의 분유 수출액은 3070만달러(약 442억원)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이자 1050만달러를 기록한 2014년 이후 10년 만에 3배 늘어난 수치다. 수출량은 2465t으로 2014년보다 2.6배 수준으로 불어났다. 아세안 국가 중 최대 수출국은 캄보디아다. 지난해 캄보디아로의 분유 수출액은 1560만달러(약 225억원)로 10년 사이 14배로 늘었다. 캄보디아의 2023년 출산율은 2.26명으로 한국(0.72명)보다 3배 높기에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나라로 수출하는 분유 중 80∼90%는 남양유업 제품이다. 남양유업은 대표 제품인 ‘임페리얼XO’를 수출 중이며 현지 소비자를 위해 캄보디아 전용 제품인 ‘스타그로우’를 출시하는 등 마케팅을 강화해 오기도 했다. 자격증작년 대(對)베트남 분유 수출액은 1500만달러(약 216억원)로 10년간 1.6배로 늘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롯데웰푸드의 수출 성장세가 가파르다. 롯데웰푸드는 베트남 특화 분유 제품인 뉴본을 앞세워 현지 거래를 확대했다. 일동후디스 역시 베트남 시장을 겨냥해 어린이 균형 영양식 수출을 노리고 있다. 분유는 우유 등 다른 유제품에 비해 이동이나 신선도의 제약이 적어 수출이 쉬운 편이다. 이에 우유업계는 저출산으로 성장이 정체된 국내 시장 대신 해외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강의한 유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저출산 현상이 지속하면서 분유 등 영유아 관련 산업 매출이 감소하는 가운데 동남아시아 시장은 분유 업계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