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원룸포장이사

아진형 2025.02.24 14:36 조회 수 : 0

원룸포장이사지난해 이상기후 영향으로 생산이 감소하며 가격이 급등한 배추와 무의 수입량이 역대급 규모를 기록했다. 대규모 수입에도 불구하고 가을과 겨울 작황 부진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올 1분기 수급 불안과 가격 상승이 우려된다. 2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배추 수입량은 전년(164t) 대비 25배 넘게 증가한 4135t으로 최근 10여년 새 최대 규모다. 배추 연간 수입량은 2020년 643t, 2021년 67t, 2022년 2030t 등으로, 배추 파동이 있었던 2022년을 제외하면 최근 10년간 연간 평균 수입량은 수십t에서 수백t 수준에 머물렀다. 원룸포장이사가격지난해 수입된 배추와 무는 전량 중국산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급 불안으로 가격이 뛰자 정부가 배추와 무 등 수입 농산품에 관세율을 한시적으로 낮추는 할당관세를 적용했고, 이를 통해 민간 수입업체들이 중국산 배추와 무를 대거 수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수입 물량은 가정용이 아닌 식자재 마트와 급식업체 등에 주로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무의 수입량도 최근 10여년 새 최대치를 기록했다. 무 연간 수입량은 2020년 5114t, 2021년 7694t, 2022년 2461t, 2023년 1307t, 지난해 1만4973t 등이다. 사무실이사비용배추와 무는 기후변화 영향으로 지난 한 해 동안 수급에 문제가 컸다. 여름철엔 폭염과 가뭄으로, 9~10월 가을철 파종기와 정식기엔 고온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생육이 부진하면서 공급량이 줄었다. 실제 지난해 가을배추 생산량은 전년과 평년(2020∼2024년) 대비 각각 6.3%, 6.4% 감소한 116만4000t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한 4분기 배추 평균 도매가격(가락시장 상품 기준)은 전년과 평년 대비 각각 61.8%, 67.7% 상승한 1만2760원(10kg)으로 집계됐다. 4분기 무의 평균 도매가격 역시 전년과 평년 대비 각각 145.2%, 87.0% 상승한 2만3710원(20kg)으로 나타났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