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오산이사

그건5산 2025.02.19 22:20 조회 수 : 0

김씨는 서울에서 1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6살 때까지는 걸어다니기도 했으나 이후 원인 모를 뇌출혈로 몸을 가누기 힘들어졌다. 이후 몸을 가누기 힘들어하고 자꾸 넘어져 몸에 상처가 늘어나 결국 7살 때부터는 휠체어를 타야 했다. 김씨는 장난을 좋아하는 활달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시력이 좋지 않아도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다. 오산이사 어머니 김미경씨는 “준혁아. 엄마가 하얀 한복을 사서 입혀줬는데 네가 너무 이쁘더라. 꼭 웃고 있는 거 같았어. 엄마가 곧 보러 갈 테니까 하늘나라에서는 아프지 말고 잘 놀고 있어. 엄마가 항상 준의대 증원 정책 등에 반발해 1년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10명 중 5명 꼴로 일반의로 병원에 재취업해 근무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부분 대형병원이 아닌 '동네 의원'에서 일하고 있었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련병원에서 사직했거나 임용을 포기한 레지던트 9,222명 중 5,176명(56.1%·지난달 기준)이 의료기관에 재취업했다. ㅍ양주이사업체전공의들은 지난해 2월 6일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2,000 명 증원을 발표한 이후 일제히 사직서를 내고 같은 달 20일부터 근무를 중단했다. 또 6월에는 정부가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했다. 이 때문에 7월부터 병원별로 사직 처리가 시작돼 전공의들이 일반의로 재취업할 수 있게 됐다. 일반의는 의대 졸업 후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했지만 전공의 수련 과정을 밟지 않은 의사다. 양주이삿짐센터전공의들의 재취업 의료기관을 종별로 보면 5,176명 중 58.4%(3,023명)가 의원급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 중 3분의 2가 서울(998명), 경기(827명), 인천(205명) 등 수도권 의원에서 일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