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소자본창업

김지영 2025.02.17 22:45 조회 수 : 0

소자본창업이유는 아직까지 알 수 없다. '좌파 예술집단을 겨냥한 경고의 일환이다' '옛 중정의 영화를 갈망한 세력의 입김이 작용했다' 등 이런저런 추론만 가능할 뿐이다. 그렇다고 단순하게 넘길 일은 아니다. 까닭을 가늠할 순 없지만, 계엄의 망령이 한예종이란 '공간'을 파고든 건 사실이다. 한예종만 그랬던 것도 아니다. 희한하게도 윤석열 정부에선 이유를 알 수 없는 '공간의 장악이나 배제'가 많았다. 무자본창업청와대행의 무조건적인 거부, 대통령 집무실의 졸속 용산행, 대통령 관저의 느닷없는 변경까지…. 그리고 이들 공간에선 예외 없이 이상한 일들이 벌어졌고, 논쟁이 일었다. 곱씹어 보면 처음부터 그랬다. 윤석열 정부의 공간은 논쟁적이고 비밀스러웠다. 누가, 왜, 그 공간을 선택했는지, 하필이면 왜 그곳에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납득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혹자는 주술呪術과 연결 짓고, 누군가는 애써 우연의 일단으로 치부했다. 하지만 이유가 어찌됐든 그 '논쟁적 공간'에서 대통령 탄핵이란 비극의 씨앗이 싹튼 건 부인할 수 없다. [※ 참고: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행은 국회의 예비비 감축 이슈, 한남동 관저는 감사원장 탄핵 논란과 맞물려 있다. 이 이야기는 이어지는 파트 기사에서 자세히 다뤘다.] 개인회생변호사언급했듯 민중은 권력의 공간을 '과거의 기능'으로 기억한다. 의릉도, 중정도 그랬다. 윤 대통령이 선택한 용산과 한남동도 그럴 거다. 사람들은 과연 '윤석열의 공간'을 어떻게 기억하고 박제할까. '尹의 논쟁적 공간: 잘못 끼운 첫단추'란 새 視리즈에서 답을 찾아봤다. 그 첫장을 지금 연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