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판촉물제작

김진아 2025.02.17 21:23 조회 수 : 0

판촉물제작서울 성북구 석관동 산 1-5번지. 1966년 12월 박정희 군사정권은 의릉懿陵(조선 경종과 선의왕후의 능)이 있던 이곳에 '공포정치'의 상징을 만들었다. 중앙정보부(중정) 이문동 청사였다. 42만㎡(약 13만평) 널찍한 터에 그들은 건물과 강당을 만들었다. 외래종의 꽃과 나무도 촘촘하게 심었다. 의릉 앞엔 연못을 판 다음 잉어를 풀었다. 왕조의 공간은 그렇게 군부의 심장이 됐다. 서슬 퍼런 역사의 한 토막이다. [※참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남산 중정은 본관이다. 여기엔 대공對共과 국내 정치를 다루는 중정의 부서들이 입주해 있었다.] 그로부터 20여년이 훌쩍 흐른 1988년. 신군부의 주역이었지만 헌정 사상 첫 직선제로 대통령직을 거머쥔 노태우는 '군부 이미지'를 세탁하길 원했다. 이를 위해 노태우 세력은 '보통 사람'콘셉트와 '문화발전' 모토를 동시에 내세웠는데,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게 지금의 한국예술종합학교(이하 한예종·1991년 12월 설립)다.장기렌트가격비교 공교롭게도 초기 한예종은 군부의 옛 심장 중정의 건물을 받아썼다. 왕의 권력을 탐했던 군부가 만든 공간을 또다른 군부가 없앤 셈이었다. 역사의 아이러니한 단면이다. # 권력이 머문 공간 개인회생변호사권력의 공간은 현재보단 '과거의 기능'으로 기억된다. 의릉은 왕조의 절대권력을, 중정은 왕조를 동경한 군부의 야욕을, 한예종의 건물은 '군부 꼬리표'를 떼길 원했던 신군부의 욕망을 내포하고 있다. 이렇게 공간엔 권력을 상징하는 힘이 흐르고, 권력자는 그 힘을 갖기 위해 다시 공간을 탐한다. 얼마 전에도 그런 일이 있었다. '피고인' 윤석열 대통령이 초헌법적 비상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