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세탁기렌탈

경주빵 2025.02.16 21:56 조회 수 : 0

세탁기렌탈언론재단이 수수료를 받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이른바 '통행세' 논란이다. 언론재단이 특별한 역할 없이 수수료만 받는다는 비판으로, 신문업계뿐 아니라 방송업계에서도 비판이 이어진다. 비판의 기저에는 언론재단이 수수료를 언론계에 환원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방송계가 대표적으로, 지난해 언론재단이 방송광고로 벌어들인 수수료는 290억 원에 달하지만 방송사를 대상으로 한 직접지원 사업은 '방송영상 기획취재보도 지원'(9700만 원)뿐이다. 언론재단이 정부광고 수수료를 광고진흥 사업·운영비로 사용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정부광고의 한 주체인 언론계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lg세탁기렌탈실제 언론재단은 정부광고 수수료를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3년도 언론재단 회계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언론재단 수입 1148억5656만 원 중 1082억9007만 원(94.2%)이 정부광고 수수료 등 광고대행사업으로 인한 것이었다. 저작권위탁 수수료·프레스센터 임대 사업 수익은 일부였다. 정부광고 수수료 절반은 언론계에 사용되지만, 이외 용도로 사용되는 돈도 적지 않다. 2023년 언론재단이 언론인 교육·미디어리터러시·언론진흥기금 등 언론진흥사업비로 사용한 예산은 전체 예산의 48.3%(519664만 원)다. 언론재단 관리운영비는 25.7%(2738698만 원), 광고대행사업 비용은 21.1%(2249824만 원)에 달한다. 공익적 성격을 가진 광고인 만큼 매체사를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지, 광고비는 얼마나 줘야 하는지 등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지만 미진한 상황이다. 광고 기준 마련에 일차적 책임이 있는 정부 차원의 통일된 기준은 나오지 않았다. 정부광고법 시행령에 따르면 문체부는 광고주 요청이 있을 경우 매체사 효과성 분석 등 조사를 실시해야 하지만 실효성 있는 기준이 없다. 문체부·언론재단은 신문 열독률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광고 지표를 개발해 2022년부터 적용했지만 현장에서 비판이 이어져 결국 활용이 중단되기도 했다. 삼성tv렌탈정부광고 기준이 없기에 광고 효과성·공공성이 아닌 관례·언론사와의 관계 등 다른 요소가 개입될 가능성이 크다. 출입기자가 광고 협박을 하는 사례도 있다. 전라북도 임실군의 한 인터넷신문 발행인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비판기사를 쓰겠다'며 임실군 공무원들을 협박해 광고비 2600만 원을 받기도 했다. 광역자치단체 관계자 A씨는 "정부에서 광고비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준다면 언론사에 '기준대로 광고비를 지급한다'고 말할 수 있는데, 현재는 적당한 지표가 없다. 지역신문의 경우 열독률 조사도 적용하기 힘들다"고 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