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서울 양천구 목동신시가지6단지(목동6단지)가 목동신시가지 14개 단지 가운데 가장 먼저 재건축 조합을 설립한다. 조합 추진위원회 단계를 건너뛰고 조합을 직접 설립하면서 재건축 사업 기간을 줄이겠다는 전략이다. 2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목동6단지 조합 설립 주민협의체는 오는 5월 10일 조합 설립을 위한 창립 총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목동6단지 조합 설립 주민협의체 관계자는 “최근 전체 조합원 1401명 가운데 약 85%(1191명)의 동의를 얻었다”며 “다음 달 조합을 설립하면 조합 설립 인가를 받고 시공사 선정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목동6단지 조합설립 주민협의체는 목동신시가지 14개 단지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재건축의 신호탄을 쏠 것으로 보인다. 이편한세상 천안역 목동신시가지는 1985~1988년 14개 단지로 지어졌으며 총 392개동, 2만6629가구 규모다. 14개 단지 모두 재건축 안전진단을 통과한 상태로, 향후 재건축을 마치면 5만3000여가구 규모 미니 신도시로 거듭날 전망이다. 목동6단지는 1986년 준공한 최고 20층, 15개동, 1368가구 규모 아파트다.천안역 이편한세상 재건축사업을 통해 최고 49층, 2173가구 규모의 새 아파트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조합 직접 설립 제도는 조합 추진위원회 단계를 거치지 않아 재건축 사업 기간을 평균적으로 약 6개월 이상 단축할 수 있다. 공공으로부터 초기 자금이나 행정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조합 설립 주민협의체는 법정단체가 아니기 때문에 상가 소유주들과 재건축을 위한 협상이 쉽지 않다는 게 한계라는 지적이 있었다. 전체 동의율 75%, 상가동을 포함한 동별 동의율 50% 이상을 확보해야만 조합 직접 설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목동6단지 역시 지난 3월 초까지만 해도 일부 상가 소유주들의 반대로 상가 동의율 요건 50%를 충족하지 못해 골머리를 앓았다. 조합 설립 주민협의체는 전체 토지 등 소유자 1401명 가운데 상가 소유주 일부와 상가 재건축 방식을 두고 이견을 보이면서 동의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조합 설립 주민협의체는 꾸준한 협상을 거치면서 상가 소유주 절반 이상의 동의를 받는 데 성공했다. 목동6단지는 재건축 1호 조합 설립을 눈앞에 둔 만큼 신고가를 줄줄이 갱신하고 있다. 전용 95.03㎡는 지난달 20일 24억5000만원, 21일 24억9000만원에 손바뀜이 일어났다.원성동 이편한세상 이는 지난해 8월 23억4000만원보다 1억원 이상 오른 신고가다. 전용 115.19㎡도 지난 2월 26억9500만원에 실거래되면서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달 10일에는 전용 65.1㎡도 20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다시 썼다. 목동6단지 매물도 쏙 잠겼다. 목동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목동6단지 재건축이 가장 빠른 속도로 추진되면서 매물은 9~10개밖에 없다”며 “이마저도 실거래가보다 2억~3억원가량 높은 가격에 호가가 형성된 상태”라고 말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09 중요 임무를 능률적으로 수행할 역량 new 하지우 2025.04.23 0
6508 재개발 구역서 해제됐던 ‘괘법1’, 9년 만에 정비구역 재지정 눈앞 new dodo 2025.04.22 0
6507 8구역은 삼성, 9구역은 현대건설·DL이앤씨?…‘핫’해진 장위동 new dodo 2025.04.22 0
» 목동 신시가지 재건축 1호 신호탄…목동6단지, 내달 10일 조합 설립 new dodo 2025.04.22 0
6505 지방부동산 살릴 묘책… 탄력받는 '국민 제2주소지제' new dodo 2025.04.22 0
6504 “부동산 틈새시장은 ‘역세권 활성화 사업’…그 이유는” dodo 2025.04.22 0
6503 "강남 아파트 사려면 이 방법뿐"…'뜻밖의 상황' 벌어졌다 dodo 2025.04.22 0
6502 주52시간 탓에…아파트 공사기간 8개월 '쑥' dodo 2025.04.22 1
6501 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56개월 만에 최대...‘4대 변수’가 분수령 dodo 2025.04.22 0
6500 “청약 계획 미뤄야 하나”…수도권 3월 계획 대비 아파트 공급 고작 20% dodo 2025.04.22 0
6499 ‘미분양 해법’ CR리츠 1호 나왔다 dodo 2025.04.22 0
6498 가계는 깐깐, 대기업은 느슨…은행 대출 문턱 엇갈린다 dodo 2025.04.22 0
6497 연 2% 청년주택드림대출…서울 신축아파트 '그림의 떡' dodo 2025.04.22 0
6496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기를 수 있을까 태양 2025.04.22 1
6495 1억 오른 호가에 거래 외면… 천도론에 난리난 세종 부동산 dodo 2025.04.22 1
6494 일자리가 곧 주거가치…행정타운 품은 아파트 ‘승승장구’ dodo 2025.04.22 1
6493 신도시 대장 아파트 조건은? oooo 인근 단지 주목해야 dodo 2025.04.22 1
6492 “역세권·학군 비켜”…고령화 시대, 집값 상승 요인은 이것 dodo 2025.04.22 1
6491 “도대체 한 달 수입이 얼마길래”…1분기 서울 월 500만원 이상 임대계약 무려 dodo 2025.04.22 1
6490 재개발 입주권도 토허제 대상…‘준공후 2년 실거주’ 확약 필수 dodo 2025.04.22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