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서울휴대폰성지# "정의가 지연되면, 더 이상 정의가 아니다"는 말은 너무 많이 회자돼 이젠 근원을 찾기도 힘들다. 지난해 12월 3일 이후 올해 3월 셋째주까지의 기간은 어떨까. 정의는 얼마나 더 지연될 것인가, 시간이 더 필요한 걸까. 알 수 없다. 탄핵 정국에서 우리는 정의의 개념부터 실현, 그 기간까지 합의에 성공한 게 없다. # 탄핵 후 점검할 문제도 마찬가지다. 상법 개정도, 밸류업 이슈도 '논박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래서 지금은 서로 다른 주장 사이에서 어떤 논리가 합리적이고, 어떤 것이 그렇지 않은지를 검증해야 할 때다. #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상법 개정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봤다. 2편에선 우리의 밸류업 정책이 왜 성과를 내지 못했는지를 짚었다. 낙수효과 등 여전히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경제 이슈들을 순차적으로 다뤄볼 계획이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지적했듯 우리 경제는 '창조적 파괴를 위해서 반드시 겪어야 할 사회적 갈등'을 회피한 대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 새로운 산업은 나타나지 않고, 기존 산업은 저물어가고 있다. 한국경제의 미래 먹거리를 찾는 일만은 더 이상 지연해선 안 된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바꾼 상법 개정안이 지난 3월 1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상법 개정을 반대하는 이들은 "상법 개정은 애초에 불필요한 일이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앞뒤가 뒤바뀐 얘기다. 일본 등 여러 나라의 법이 이사(경영진)의 회사 충실의무만을 명시해놓은 건 맞다. 하지만 이사의 충실의무를 회사라고 표기했더라도 법체계상 그 의무는 당연히 주주로까지 확대된다. 탄핵 後 점검해야 할 이슈 1편 '상법 개정'이다. 우리나라 법원은 현행 법체계에서 당연히 도출돼야 할 이사의 충실의무를 줄기차게 회사로만 축소 적용해 왔다. 법원은 정말 끈질기게도 이사의 충실의무가 지배주주가 아닌 다른 주주로까지 확대하는 것을 방해했다. 이를테면, '1+1'이란 수식을 보고 모든 사람이 현실에서 사용하는 십진법으로 이해해 그 답을 '2'라고 하는데도, 유독 우리 법원은 "1+1은 이진법상 10"이라는 식으로 판결해 왔다는 얘기다. 이런 측면에서 법원이 상식에 부합하는 판결을 내려왔다면, '상법 개정' 같은 건 필요 없는 일이었다. 사법부의 스텝이 꼬이기 시작한 건 2009년 '경영진이 회사에는 충실해야 하지만, 주주들에게는 충실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를 개발하면서다. 대법원은 삼성에버랜드 경영진이 전환사채(CB·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발행한 행위가 여러 사람에게 피해를 줬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기존 주주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일 뿐이지 회사의 이익을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고 판결했다. 바꿔 말하면, 이런 판례가 꾸준히 나온 덕분에 입법부는 재계와 16년간의 갈등을 겪으면서도 상법에 '주주'를 넣는 데 성공했다. 그대로 두기엔 상식과 너무나 위배하기 때문이다.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에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강요받고 있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조차 2021년 한 책자에서 "이사는 전체 주주의 이익을 위해 신인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겨레는 3월 17일 "최 대행이 집필한 「경제정책 어젠다 2022」 4장 '공정-기업 지배구조 혁신과 공정한 경제'에 이런 내용이 담겨 있다"고 보도했다. 배임죄 수사 경험이 많은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도 법무부장관 시절 국회에서 "삼성에버랜드 CB 사건 이후 주주 중심이 아니라 회사 중심으로 피해자를 봐야 배임죄로 (기소에) 성공할 수 있는 구도가 됐다"며 "대륙법 체계에서는 이 부분이 없다"고 답변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97 만석 태양 2025.03.26 19
6296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비교 다이렉트 2025.03.26 17
6295 강동 싱크홀 매몰 남성 끝내 숨졌다… 3개월 전 점검 땐 “이상無” 이현아 2025.03.26 18
6294 안동·청송 대피령… ‘천년고찰’ 고운사도 불탔다 정수현 2025.03.26 19
6293 방심위 "언더피프틴 검토한 적 없어… 우린 사후심의기구" 민지아 2025.03.26 16
6292 청년세대 독박? 국민연금 개혁이 세대 '착취' 초래할까 강혜정 2025.03.26 14
6291 '중국 간첩설' 스카이데일리, 광고주에게도 악명 높았다 전지현 2025.03.26 18
6290 싼 곳 찾아 '원정 접종' 하는 사람들, 천차만별 백신가격 괜찮나 지혜정 2025.03.26 16
» 재벌총수에게만 봉사하는 '사장 시대'의 종언 [視리즈] 신지아 2025.03.26 16
6288 우리가 외국인 노동자를 쳐다보는 표정 [노동의 표정] 이현정 2025.03.26 18
6287 성시경, “미친 듯이 살찐다” 경고… 밥 도둑 ‘이 음식’ 대체 뭘까? 이지아 2025.03.26 16
6286 살 빼려면 ‘아기’처럼 먹어라… ‘3가지’만 기억하면 끝 신혜지 2025.03.26 16
6285 귤껍질 같은 피부… 모공 크기 ‘확’ 줄이는 방법은? 한경원 2025.03.26 15
6284 “김새론, 치료비도 없어 지인에 부탁”…전 남친 “죽음은 김수현과 무관” 이서아 2025.03.26 14
6283 권성동 “민주, 한덕수 재탄핵 가능성 시사…그야말로 집단 광기” 최지혜 2025.03.26 15
6282 “여보, 탄핵 끝나면 여행가자” 파김치된 경찰 특단의 대책 내놨다 [세상&] 김서정 2025.03.25 14
6281 [단독] “사고 2주 전부터 가게 바닥에 균열”…강동구 싱크홀 또다른 전조증상 [세상&] 김희성 2025.03.25 15
6280 삼성 갤럭시폰에서 AI로 불법스팸 차단 최진아 2025.03.25 13
6279 신동빈 회장, 롯데쇼핑 사내이사 복귀...'겸직 논란' 5년만 민지아 2025.03.25 18
6278 이어 “기후 이슈는 당장 해결해야 할 위험임에도 위기를 위기로 인식 그건5산 2025.03.25 1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