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국내 기업들의 해외건설 누적 수주금액이 1조 달러를 넘어섰다. 1965년 현대건설이 처음으로 태국 고속도로 공사를 수주한지 59년만에 달성한 쾌거이다. 수출·수주에서 누적 1조 달러를 넘어선 부문은 반도체, 자동차에 이어 건설이 세번째다. 형사전문변호사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금액이 371억 1000만 달러를 기록해 누적 수주액 1조 달러(1조 9억 달러)를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 1965년 11월 태국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에 우리기업이 최초로 진출한 이후 59년만이다. 지역별로 보면 중동 및 아시아로 수주금액의 80% 이상이 몰렸다. 다만 최근 3년간(2022~2024년)으로 한정하면 북미·태평양, 유럽 등의 비중이 각각 19.3%, 10.4%까지 늘며 진출 지역이 다변화됐다. 개별 국가별로는 사우디아라비아(17.7%), UAE(8.4%), 쿠웨이트(4.9%), 싱가포르(4.8%), 베트남(4.8%) 순이었다. 최근 3년 기준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24.5%), 미국(16.9%), 카타르(6.4%), 인도네시아(4.8%), 헝가리(3.6%) 순으로 북미와 유럽 지역 비중이 늘었다. 공종별로는 1960년~1990년대 초반까지 주로 토목·건축 분야를 수주해왔으나 이후 원유 수요 증가 및 우리 기업 기술발전 등에 힘입어 최근 3년 기준으로는 플랜트 등 산업설비 수주 비중이 52.4%로 가장 많다. 또 엔지니어링 등 용역 분야 진출도 증가하고 있다. 형사전문변호사사업 유형별로는 단순 도급사업 비중이 90%대로 여전히 높다. 하지만 최근 기업들의 투자개발사업(PPP)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설립,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 조성 등 정부 정책지원에 힘입어 지난해 투자개발사업 수주 금액이 전년 대비 3.5배 늘어난 51억7000만 달러(전체의 13.9%)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현대건설(14.5%), 삼성물산(9.2%), 삼성E&A(9.0%), 현대ENG(7.3%), GS건설(7.1%) 순이며 최근 3년 기준으로는 삼성E&A(17.9%), 삼성물산(17.2%), 현대ENG(15.6%), 현대건설(9.2%), GS건설(4.8%) 순이다. 삼성E&A와 GS건설이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주한 파드힐리 가스 플랜트 공단 전경. 사진 제공=GS건설 삼성E&A와 GS건설이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주한 파드힐리 가스 플랜트 공단 전경. 사진 제공=GS건설 역대 1위 수주 사업장은 ‘UAE 원자력 발전소(191억 3000만 달러, 2009년)’ 이며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80억 3000만 달러,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73억 달러, 2024)', ‘쿠웨이트 클린 퓨얼 프로젝트(72억 9000만 달러, 2014년)',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프로젝트(68억 4000만 달러, 2014년)' 가 뒤를 이었다. 해외건설의 경제 기여도는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건설수지 세계 1~2위를 꾸준히 유지 중이다. 특히 2023년 기준 세계 20대 경상수지 대국 중 우리나라는 경상수지 대비 건설수지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13%)다. 해외건설이 경상수지 흑자 확대에 가장 크게 기여한 셈이다. 또 세계 20대 경제대국 중 우리나라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건설수지 비율이 0.24%로 가장 높다. 한편 지난해 국내 기업의 해외건설 수주금액은 371억 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333억 달러 대비 11.4% 증가한 수치이며 2016년 이후 최대 수주액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세계적인 경기 둔화 속에서도 건설 외교, 민·관협력 등의 성과로 254개 해외건설 기업이 101개국에서 605건의 사업을 수주했다"고 설명했다. 중동 지역 수주가 184억 9000만 달러로 전체 실적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는 2015년 이후 최대 수주액으로 주력 시장인 중동 지역의 수주가 다시 증가하면서 ‘제2 중동붐’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진출 이래 역대 최고 규모인 파딜리 프로젝트(73억 달러)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를 성공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형사전문변호사유럽에서는 전년 대비 139.7% 증가한 50억 5000만 달러를 수주했다. 태양광 발전, 배터리 공장 등 신(新)분야 사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이뤄낸 성과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 우리기업들을 적극 지원해 K-도시 및 K-철도, 투자개발사업 등을 통한 해외건설 2조 달러 시대를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0 금단증상’ 극복, 뇌 속 신경 메커니즘서 실마리 찾았다…금연 치료 가능성 제시 용두용미 2025.01.10 6
409 유인태, '한덕수 미스터리'에 "직무정지 전 만나…尹 입이 무서웠나" 김학림 2025.01.10 6
408 에스터는 각 일정에 대한 리뷰 확인과 예약, 결제 근육맨 2025.01.10 6
407 "헌재, 여론 눈치 보겠다니 경악" "헌법만 바라봐야"…김기현 주최 긴급 세미나서 한목소리 용두용미 2025.01.10 7
406 뽑고 싶지 않은 차기 대권주자는?…이재명 42.1%, 홍준표 16.8% 김학림 2025.01.10 4
405 "구호품 쓸어가"…무안공항 유가족 대기실에 등장한 '얌체족 용두용미 2025.01.10 4
404 미 연준 금리조절론과 환율의 어려운 함수 [경알못 환율 설명서] 김학림 2025.01.10 5
403 설 연휴 6일 연속 쉰다…당정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용두용미 2025.01.10 3
402 '기업 집주인' 고소한 미국과 국토부의 이상한 역주행 [마켓톡톡] 김학림 2025.01.10 6
401 태백서 실종된 80대 남성,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 용두용미 2025.01.10 4
400 야 6당, '내란 특검법' 재발의...여당 "쌍특검법 논의" 김학림 2025.01.10 3
399 美, AI 수출통제 전 세계로 확대 전망…韓·日 등 동맹국 예외 용두용미 2025.01.10 4
398 꿈을 이루어가는 사람 태양 2025.01.10 8
397 "임금피크제 불이익 있어도 필요성 인정"…`청구액 5억4천만원` 2심서 뒤집혔다 김학림 2025.01.10 6
396 대법, '펀드 환매중단' 장하원 무죄 확정(상보) 김이나 2025.01.10 6
395 미 연준 금리조절론과 환율의 어려운 함수 [경알못 환율 설명서] 용두용미 2025.01.10 6
394 수천억 날렸어도…디스커버리 펀드 장하원 전 대표 무죄 [세상&] 김이나 2025.01.10 6
393 '기업 집주인' 고소한 미국과 국토부의 이상한 역주행 [마켓톡톡] 용두용미 2025.01.10 8
392 안산시, 구직 단념 청년에게 맞춤형 사회 진출 지원…참여자 모집 김이나 2025.01.10 3
391 저리 융자로 도시 재생 : 취지는 좋은데 시장이 너무 굳었다 용두용미 2025.01.10 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