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꽃바구니# 2020년 7월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가 개정되면서 임차인에겐 계약갱신권과 계약 갱신시 임대료를 기존의 5%까지만 올릴 수 있는 보호망이 생겼다. 이 두 보호망을 임대차2법이라 부른다. 태생적으로 임차인을 보호하는 법이란 점에서 두 보호망은 부동산 업자와 집주인으로부터 수많은 비판을 받았다. # 그렇게 5년이 흐른 지난 2월 국토연구원이 두 보호망의 효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결론은 임대차2법을 사실상 없애자는 쪽이다. 당연히 보고서를 향한 비판이 날카롭다. 국토부 임대차 보고서의 허점 2편에서 나머지 논쟁거리를 살펴봤다. 2020년 7월 전월세의 계약을 '한번 더(2+2년)' 할 수 있는 임대차보호법(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 개정안)을 시행됐다. 여기에선 임대료 인상 한계선도 명확하게 규정했다. 상한선 5%다. 이 두가지(계약갱신청구권ㆍ전월세상한요율)를 묶어서 '임대차2법'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1편에서 설명했듯 임대차2법을 두곤 말도 탈도 많았다. 부동산 업자와 집주인은 '결국 전월세 가격을 인상하는 부메랑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불만을 내비쳤다. 그렇게 2+2년이 흘렀고, 국토연구원은 지난 2월 임대차2법의 정책효과를 가늠할 수 있는 '주택임대차 제도개선 방안 연구' 최종 보고서(이하 임대차 보고서)를 공개했다. 결론을 한번 더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시행 중인 임대차2법을 폐지하거나, ▲지역별로 적용하거나, ▲임대인-임차인이 자율적으로 적용을 결정하거나, ▲임대료 상한요율을 올리자는 것 네가지였다. 요약하면 '임대차2법을 유지할 수 없다'는 거였다. 곧바로 숱한 비판이 쏟아졌다. 임대차 보고서의 결론이 편향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중 전세 매물 감소와 전세가 상승이란 보고서의 비판적 분석은 1편에서 다뤘다. 2편에선 나머지 논란거리를 살펴보자. ■ 허점➌ 전월세 역전의 검증 = 국토연구원의 임대차 보고서는 "임대차2법 이후 전세계약이 줄고 월세계약이 늘어나 시장에서 전세매물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반론이 만만치 않다. 근거는 '계약'과 '실거주' 사이에서 비롯된 오해의 결과물이란 것이다. 무슨 말일까. 부동산 업계 관계자의 말을 들어보자. "보증금 6000만원 이상, 월 임대료 30만원 이상의 임대차 거래가 전월세 형태를 막론하고 신고의무 대상이 됐다. 2020년 7월 신고의무를 명시한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 개정안'이 적용되면서다. 그 결과, 월세 계약 물량이 늘어난 것처럼 보였을 뿐이다." 기존엔 월세 계약을 맺었더라도 통계에 잡히지 않았다면, 2020년 7월 이후부턴 '신고의무'가 발생해 월세가 증가한 것 같은 '착시현상'이 나타났다는 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73 LLM 모델, AI 반도체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AI 위엔아이 2025.03.19 1
» 임대차 2법 後 : 전월세 비중 뒤집혔다? 통계의 왜곡 [분석+] 신민아 2025.03.19 2
5571 연구 목적에 있어서는 데이터 활용이 가능함을 명확히 하고 있다”고 언급 찰리푸 2025.03.19 2
5570 "탄핵 기각" 자유통일당, 조선일보 '탄핵 각하' 기사 이후 '각하'로 변경? 추성균 2025.03.19 1
5569 PF 대출서 날아온 '부실'이란 망령 : 저축은행 예고된 추락 [視리즈] 이지아 2025.03.19 1
5568 AI 차기 전장은 버티컬LLM…한국도 알파폴드 같은 대작 만들 비빔왕 2025.03.19 2
5567 반면 인증부표는 미세 플라스틱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크롱아 2025.03.19 1
5566 김 매니저는 "2023년에 뭔가 AI를 도입해서 우리가 실험을 많이 해봤고, 멸공가자 2025.03.19 1
5565 이제 50년이다 동아일보는 사과하라 임수진 2025.03.19 0
5564 저축은행이야 대부업체야 : 무서운 '금리 딜레마' [視리즈] 신혜지 2025.03.19 0
5563 선거법 위반 혐의’ 정동영 의원, 1심서 벌금 70만원 뽀로로 2025.03.19 1
5562 이 총괄은 "글로벌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독립 소프트웨어 개발·판매 회사 드릴세 2025.03.19 1
5561 스웨덴 연구 기관 "한국 독재화 진행…미디어 편향·자체 검열 일반화" 김수지 2025.03.19 1
5560 이진숙, 기자들 향해 "국회 몫 방통위원 추천 뜻 같이 해달라" 이현아 2025.03.19 1
5559 통신 서비스의 요금 대비 가치 평가에서도 두 그룹 간 차이가 뚜렷했다 체크맨 2025.03.19 1
5558 "한국 청년들, 이 정도일 줄은" 절반 이상이 정부 못믿겠다는데 이서아 2025.03.19 1
5557 “요즘 72세=12년전 65세”…점점 젊어지는 한국인들 성지혜 2025.03.19 1
5556 앤스로픽의 발표에 이어 AWS의 글로벌 인프라를 활용한 해외시장 진출 사례와 엔젤몬 2025.03.19 1
5555 "나 빼고 다 갈아탔나봐"…1만원 대 알뜰폰, 불황 타고 1000만 '눈앞' 김희열 2025.03.19 0
5554 대신협, 유정복 인천시장 ‘자치분권대상 노페천 2025.03.19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