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당일꽃배달# 2011년 터진 '저축은행 사태'에서 힘겹게 탈출한 국내 저축은행 업계가 또다시 위기에 빠졌다. 이번에도 위기의 뇌관으로 작용한 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었다. 2020년 팬데믹 이후 이어진 저금리 국면에서 PF 대출을 늘린 게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문제는 저축은행의 실적 악화의 불똥이 애먼 서민에게 튀고 있다는 점이다. 건전성 강화에 나선 저축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부터 조이고 있어서다. # 물론 몇몇 저축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을 취급하고 있긴 하지만, '서민금융'이란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출 문턱을 높인 것도 모자라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가 대부업체와 다를 바 없다는 지적까지 받고 있어서다. 저축은행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 視리즈 '본질 잃은 저축은행 자화상 2편'에서 살펴봤다. 우리는 '본질 잃은 저축은행 자화상 1편'에서 실적 악화에 허덕이는 저축은행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저축은행의 실적이 마이너스로 곤두박질친 건 2023년부터다. 고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화한 결과였다. 저금리 국면에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냈던 PF 대출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거다. 이를 엿볼 수 있는 게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2년 6월 2.17%였던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 12.52%를 기록하며 2년 만에 10%포인트 넘게 치솟았다. 다행히 3분기 연체율이 9.39%로 소폭 하락했지만 안심하기엔 이르다. 저축은행이 매각해야 할 부실 PF 사업장이 적지 않아서다. 올해 2월 기준 국내 38개 저축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매각 대상 PF 대출 사업장은 128건이나 됐다. 누군가는 "가계 대출을 확대해 수익을 늘리면 될 것 아니냐"고 말할지 모르지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8.37%에 달했다. 연체율만 감안하면 지금은 건전성을 강화하는 게 급선무다. 이 때문인지 저축은행이 가계 대출을 늘리긴커녕 중‧저신용자 대출을 외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지적도 나온다. 저축은행의 부실이 장기화하면서 서민금융기관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거다. ■ 높아진 대출 문턱 = 이 때문인지 저축은행은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2월 신용대출을 취급한 국내 33곳의 저축은행 중 19곳이 신용점수 600점 이하의 중·저신용자에 대출을 해주지 않았다. 저축은행이 건전성을 관리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중·저신용자 대출을 조이고 있는 셈이다. 신용평가기업 나이스평가정보가 김남근(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신규 취급액)은 2022년 4006억원에서 2023년 2368억원으로 줄었고, 지난해엔 늘어나긴 했지만 2655억원에 머물렀다. 저축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이 2년 만에 33.7% 줄어든 셈이다. 그 결과, 저축은행의 전체 신용대출에서 중·저신용자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2.2%에서 1.8%로 쪼그라들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18 사진예술 갤러리로서 스페이스 이신은 사연이 더 풍성했다. 조 씨는 “원래 호혀허 2025.03.19 11
5617 K문학, 노벨문학상 한 번 받고 시들어버릴 위기에 처했다 최혜민 2025.03.19 11
5616 사진 전시회·인문강좌 갈증 풀어준 옹달샘 지혜노 2025.03.19 7
5615 현대차그룹, 본사 빌딩 GBC에 축구장 2배 크기 녹지공간 만든다 크리링 2025.03.19 11
5614 ‘쓰레기 줄이기’ 실천자들이 비빌 작은 언덕 오가원 2025.03.19 8
5613 한국 미술의 세계 진출을 견인한 김병기의 업적을 기리는 학술 세미나도 오는 22일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린다 피콜로 2025.03.19 13
5612 ‘다수결’ 말고… 모두를 초대하는 정치 사이훈 2025.03.19 14
5611 김종영의 조각 ‘작품 65-2’는 비엔날레 출품작이자 리움미술관 그룹보이 2025.03.19 5
5610 특히 도는 중·대규모 농가 중심으로 참여자에게 실질적 소득 보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헤헤로 2025.03.19 8
5609 [신동아 만평 '안마봉'] 2025년 전쟁 종막이 고대된다 곽두원 2025.03.19 11
5608 김병기가 그들을 불렀다, 1965년 상파울루에서, 그리고 지금 비에이치 2025.03.19 10
5607 ‘고령 운전’ 우려 커지는데… ‘운전면허 반납’만이 과연 답일까? 공지현 2025.03.19 15
5606 노인 기준은 몇살부터?…“현재 72세, 12년전 65세 수준” 김수연 2025.03.19 13
5605 앞서 지난해에는 유압 부품 전문 기업인 두산모트롤을 인수한 데 더해 배터리 팩도 직접 개발 미역김 2025.03.19 10
5604 2조원 기술 수출 ‘잭팟’ 알테오젠, 특허 분쟁 우려도 씻나 수원지 2025.03.19 14
5603 40개 의대 '21일까지 휴학계 반려' 합의…유급·제적 등 김서정 2025.03.19 8
5602 ‘돈 잘 버는’ 나라 사람이 잘 넘어진다? 이유 봤더니… “의외네” 최지혜 2025.03.19 12
5601 지역 자부심을 높이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다음은 제1기 부산시 파파라 2025.03.19 6
5600 부산환경공단, 해빙기 대비 시설물 안전점검 실시 아진형 2025.03.19 4
5599 “뺑뺑이 돌다 구급차서 출산”… 노조 조끼 벗고 호소한 119대원 수인형 2025.03.19 1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