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당일꽃배달# 2011년 터진 '저축은행 사태'에서 힘겹게 탈출한 국내 저축은행 업계가 또다시 위기에 빠졌다. 이번에도 위기의 뇌관으로 작용한 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었다. 2020년 팬데믹 이후 이어진 저금리 국면에서 PF 대출을 늘린 게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문제는 저축은행의 실적 악화의 불똥이 애먼 서민에게 튀고 있다는 점이다. 건전성 강화에 나선 저축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부터 조이고 있어서다. # 물론 몇몇 저축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을 취급하고 있긴 하지만, '서민금융'이란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출 문턱을 높인 것도 모자라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가 대부업체와 다를 바 없다는 지적까지 받고 있어서다. 저축은행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 視리즈 '본질 잃은 저축은행 자화상 2편'에서 살펴봤다. 우리는 '본질 잃은 저축은행 자화상 1편'에서 실적 악화에 허덕이는 저축은행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저축은행의 실적이 마이너스로 곤두박질친 건 2023년부터다. 고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화한 결과였다. 저금리 국면에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냈던 PF 대출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거다. 이를 엿볼 수 있는 게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2년 6월 2.17%였던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 12.52%를 기록하며 2년 만에 10%포인트 넘게 치솟았다. 다행히 3분기 연체율이 9.39%로 소폭 하락했지만 안심하기엔 이르다. 저축은행이 매각해야 할 부실 PF 사업장이 적지 않아서다. 올해 2월 기준 국내 38개 저축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매각 대상 PF 대출 사업장은 128건이나 됐다. 누군가는 "가계 대출을 확대해 수익을 늘리면 될 것 아니냐"고 말할지 모르지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8.37%에 달했다. 연체율만 감안하면 지금은 건전성을 강화하는 게 급선무다. 이 때문인지 저축은행이 가계 대출을 늘리긴커녕 중‧저신용자 대출을 외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지적도 나온다. 저축은행의 부실이 장기화하면서 서민금융기관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거다. ■ 높아진 대출 문턱 = 이 때문인지 저축은행은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2월 신용대출을 취급한 국내 33곳의 저축은행 중 19곳이 신용점수 600점 이하의 중·저신용자에 대출을 해주지 않았다. 저축은행이 건전성을 관리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중·저신용자 대출을 조이고 있는 셈이다. 신용평가기업 나이스평가정보가 김남근(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신규 취급액)은 2022년 4006억원에서 2023년 2368억원으로 줄었고, 지난해엔 늘어나긴 했지만 2655억원에 머물렀다. 저축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이 2년 만에 33.7% 줄어든 셈이다. 그 결과, 저축은행의 전체 신용대출에서 중·저신용자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2.2%에서 1.8%로 쪼그라들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57 아우디 코리아, ‘Q6 e-트론’ 출시…“PPE 플랫폼 최초 적용 넘무행 2025.03.19 0
5456 [강현철 칼럼] 이재명 대표의 `독재 본색` 신지아 2025.03.19 2
5455 내 말 좀 들어줘! 내 아이 일탈의 속내 [내 아이 상담법] 이현정 2025.03.19 1
5454 김수현 “김새론 집 단 한 번도 간 적 없다”…이어지는 ‘폭로 고현정 2025.03.19 3
5453 2월 금통위서 만장일치로 금리 인하…"경기 부양이 우선 신혜지 2025.03.19 0
5452 연천 고랑포구 역사공원해발 140m 높이에 자리 잡은 원형 전망실 테란저그 2025.03.19 0
5451 "이런 손님은 처음"..日카페 사장, 한국인 관광객 행동에 '감동' [따뜻했슈] 곽두원 2025.03.19 0
5450 [기획] 美 `관세표적`에도 쳐다만 보는 韓 이현정 2025.03.19 0
5449 맞춤형 통일교육, 무엇을 체험하나 타블로 2025.03.19 1
5448 홈플러스"등급하락 미리 알았다"… 전단채 투자자들 "명백한 사기" 과수원 2025.03.19 2
5447 전한길 "불의한 판결엔 저항하는 게 헌법정신…헌재 절차 정당할 땐 승복" 신민아 2025.03.19 0
5446 서부지검은 전날 구속영장 신청서를 검토했지만, 수사팀 내부에서는 초민비 2025.03.19 0
5445 PF 대출서 날아온 '부실'이란 망령 : 저축은행 예고된 추락 [視리즈] 이지아 2025.03.19 2
5444 미래통일교육센터, 어떻게 구성돼 있나 오마걸 2025.03.19 0
5443 [단독]아모레퍼시픽 최초의 해외 M&A 결국 실패로, 구딸 14년 만에 넘긴다 이지아 2025.03.19 1
» 저축은행이야 대부업체야 : 무서운 '금리 딜레마' [視리즈] 신혜지 2025.03.19 0
5441 교육부, 전국 의대에 “집단 휴학 승인 말라” 공문 닭강정 2025.03.19 2
5440 핵소추' 법무장관 "다수당의 탄핵 남용" vs 정청래 "다수결 반대 데이비드 2025.03.19 0
5439 “실업급여 계속 받고 싶어서” 비정규직 24만명 증가 신혜지 2025.03.19 0
5438 파주시 적성면 한적한 시골마을에 자리한 미래통일교육센터(이하 교육센터) 지스타 2025.03.19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