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성범죄변호사무심코 거울을 보다 발견한 목주름 때문에 놀란 경험이 있으신가요? 노화인 줄만 알았던 굵고 깊은 목주름, 목뼈와 근육의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거울이 될 수 있습니다. 스스로 목주름을 만들고 있던 일상 속 잘못된 습관을 확인해 보세요. 먼저, 목 앞쪽의 주름이 깊다면 목을 구부리는 습관을 체크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을 아래로 두고 보거나 독서대 없이 목을 구부리고 독서를 하는 행동, 높은 팔걸이가 있는 소파에 장시간 누워 있는 행동 등입니다. 목을 오래 구부리고 있다는 것은 특히 ‘일자목’ 질환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목의 앞쪽에 주름이 있는 경우에는 일자목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앞서 언급한 문제 습관을 수정해야 합니다. 반대로 목 뒤쪽에 주름이 깊은 경우라면 머리를 위로 젖히는 습관을 떠올리게 될 텐데요. 직업 특성상 위쪽을 봐야만 하는 직업이 해당할 수 있지만 머리를 앞으로 내밀거나 등이 굽은 사무직도 이 경우에 해당됩니다. 흔히 알려져 있는 ‘거북목’은 어깨보다 머리가 앞으로 나가는 자세를 의미하는데, 머리를 앞으로 내밀고 정면을 주시하게 되면 목은 뒤로 젖혀지는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거북목에 대한 관리와 예방을 위해 위쪽을 오랜 시간 바라보거나 머리가 앞으로 나가는 습관을 수정해야 합니다. 또 목의 옆면, 특히 한쪽에만 주름이 깊은 경우 편측(한쪽) 활동을 체크해야 합니다. 듀얼 모니터를 편측으로 배치하여 주 모니터로 사용하거나 소파에 옆으로 누워 머리를 괴고 있는 행동, 낮은 베개를 옆으로 누워 베는 행동 등이 해당됩니다. 목은 디스크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근육의 불균형 또한 문제가 됩니다. 목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있는 근육은 편측 활동에 의해 길이가 비대칭으로 변하거나 한쪽 근육만 긴장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의 한쪽만 주름이 많거나 깊다면 평상시 편측 습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목은 다른 부위보다 피부가 얇고 탄력이 적어 한번 주름이 생기면 완전히 없애기 어렵습니다. 늦었다 생각하기보다 더 굵고 깊은 목주름이 자리 잡기 전에 일상생활 속 문제 되는 습관을 찾아 고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41 더그 포드 캐나다 온타리오 주지사는 현지 수원왕 2025.03.17 0
5240 아이유 사는 에테르노 청담 200억 넘겼다…'가장 비싼 아파트' 지혜정 2025.03.17 0
5239 이재명, 마은혁 임명 보류에 “최 대행, 불법·위헌 밥 먹듯이 해” 강혜정 2025.03.17 0
5238 이번 시즌 첫 번째 주인공은 119특별구급대원 신소희 미역김 2025.03.17 0
5237 유조선엔 미 해군이 사용할 항공유 성수현 2025.03.17 1
5236 [속보] 대검 “尹 구속취소에 즉시항고 포기 입장 변함없다” 최혜성 2025.03.17 2
» [건강플러스] 목주름의 원인, '이것' 때문일 수 있습니다 전지현 2025.03.17 0
5234 "아직 패딩 넣지 마세요"…황사 지나면 눈·비에 꽃샘추위 신지아 2025.03.17 3
5233 물적분할 후 자회사를 상장할 때 모회사 일반주주에게 공모주 웨딩포리 2025.03.17 1
5232 75년 전 상속세법 만들 때도 “서울 집값 올라”…이재명이 말하는 중산층은? 곽두원 2025.03.17 1
5231 AI 쇼핑 가이드는 전자제품군에 우선 적용되며 점차 적용 혜성링 2025.03.17 0
5230 100만개가 넘는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자본시장법 아현역 2025.03.17 0
5229 부산 경찰, 대통령 탄핵 선고일 비상설부대 투입해 질서 유지 이청아 2025.03.17 0
5228 헌재, 감사원장·중앙지검장 탄핵 모두 기각…전원일치 판단 이현정 2025.03.17 1
5227 이날 센드버드는 ‘AI 에이전트 빌더’와 ‘AI 에이전트 플랫폼 백지영 2025.03.17 1
5226 첨단산업은 중국에 대한 경쟁력을 빠르게 잃어가고 있다 종소세 2025.03.17 0
5225 대검 "즉시항고 포기 변함없어…외부에 흔들림 없어야" 신민아 2025.03.17 0
5224 한국 측 연구책임자인 천문연의 정웅섭 책임연구원 테그호 2025.03.17 1
5223 이창용 "추경 15~20조 바람직…35조? 진통제 너무 많아" 곽두원 2025.03.17 1
5222 [속보] 노태악 선관위원장 “특혜 채용 통렬히 반성” 이현정 2025.03.17 1
위로